이해하며 개인 노션에 작성한 글인데, 경어체를 쓸 겨를이 없군요! 추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s값을 계산해보자. 입력값 Xi * Wi(가중치)(i는 1부터 끝까지) + 1 * W0(bias) = s 구한 값을 f(), 즉 전달 함수(=활성화 함수)에 집어 넣는다. 여기서는, s가 특정값 이상이면 1이고, 아니면 0이다. 생물에서, 역치를 넘으면 반응하는 것 과 비슷하다. 그럼, OR 연산을 하는 퍼셉트론을 구해보자. s는 어떻게 계산될까? x1 + x2 + (-0.5) = s 일 것이고, 그럼 만약 x1 = 1, x2 = 0 이면? 0.5가 나오고, 0을 넘으니 f(s) = 1 일 것이다. 그럼 만약 x1 = 0, x2 = 1 이면? 마찬가지로 0.5가 나오고, 0을 넘으니 f(s) = 1 일 ..
우선 군집화가 뭐였나요? 유사한 데이터끼리 모으는 것을 군집화 라고 합니다. 군집화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계층적 군집화: 군집들이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도록 합니다. 병합형 계층적 군집화 하나의 데이터로 출발하여, 가까운 것을 결합해 나가며 계층구조를 생성합니다. Bottom-Up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분리형 계층적 군집화 전체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의 군집에서 출발하여, 유사성을 바탕으로 군집을 분리합니다. 분할 군집화: 계층 구조를 맏늘지 않고, 전체 데이터를 유사한 것들끼리 나눠서 묶습니다. ex) K-means 알고리즘 분산값 V를 최소로 하는 점의 집합을 찾는 것이 목표입니다. 1. 초기에 군집의 중심을 임의로 설정해줍니다. (K개 설정) 2. 모든 점들에 대해, 가장 가까운 U(..
결정 트리는, 트리 형태로 의사결정 지식을 표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위의 예시는, 날씨가 어떨 때 테니스를 치러 갈까? 를 결정하는 의사결정 트리인데요, 쉽게 말해 Internal Node는, 기상 상황들을 말하는 것이고, Edge는 그 기상 상황이 어떤지, 즉 속성값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마지막 Terminal node는, 부류. 여기서는 Yes or No를 나타냅니다. 결정 트리 알고리즘을 구성하는 것은, - 우선 하나의 노드로 구성된 트리에서 시작합니다. 1. 분할 속성을 선택하고, 2. 속성값에 따라서 서브트리를 확장 및 생성하고, 3. 데이터를 속성값에 따라 분배합니다. 이 1-2-3 과정을 반복합니다. 우리는 일반화 성능이 우수한 최대한 간단한 트리를 원합니다. 방금, 결정 트리 알고리즘을 구..